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자와 계피

by 하나2022 2022. 11. 9.

겨자

백개자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과 남유럽이고, 중국에서는 BC12세기 주나라 때 종자를 향신료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우리나라에도 중국으로부터 들어왔다. 식물의 전체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 모양은 넓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밑 부분이 좁으며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봄부터 여름까지 놀나 꽃이 핀다. 잎의 색은 녹색과 자색이고 녹색 두 종류가 있으며 전자를 청겨자, 후자를 적겨자라 한다. 무, 배추, 갓, 유채, 양배추와 함께 겨자과에 속해 있는 1~2년생 초본으로 씨가 그대로일 때는 아무런 향기나 매운맛도 못 느끼지만 가루로 만들어 따뜻한 물을 부어 두면 씨 속에 함유된 시니그린이 미로시나제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약 1%의 휘발성 겨자기름이 유리되면서 특유의 향기와 코를 찌르는 듯한 톡 쏘는 매운맛이 생기게 된다. 이것을 흔히 겨자라 하며 이때 식초를 함께 넣고 개서 5~10분쯤 두면 효소 활성이 활발해져서 매운맛이 더 강해진다.

 

겨자의 주요성분

겨자의 매운맛은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다. 종자는 가루로 만들어서 향신료인 겨자로 사용한다. 겨자씨에는 시니그린 배당체와 가수분해 효소 미로시나제 외에 37%의 지방유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를 가루로 만들어서 물을 부어 놓아두면 가수분해 되어 1% 정도의 휘발성 겨자기름이 분리되면서, 특유한 향기와 매운맛이 생긴다. 이것을 향신료 겨자라고 한다.

 

겨자의 한방효능

한방에서는 채소류에서 소개된 갓의 성숙한 종자를 공히 '백개자'라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백개자의 한방 효능은 '갓' 항목에 소개되어 있다. 갓 항목의 내용 외에 민간 등에서 알려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가루로 만들어 물이나 식초로 개어서 폐렴, 관절염, 신경통, 류머티즘 등의 찜질약으로 붙이면 효과가 있다.

2. 씨를 달인 물은 해독작용이 있어서 버섯의 중독이나 짐승에게 물린 독을 해독하는 데 쓰인다. 백개자는 씨를 진해, 거담, 위통, 복통 등에 사용하고, 양겨자는 감기, 기침, 종기에 약용한다.

 

겨자의 주의사항

1. 독성 성분은 머스터드 오일이라 불리는 isothiocyanates이다.

2. 순무의 일종인 rutabaga 같은 식물은 가축에게 갑상선종을 유발할 수 있다.

3. 종자에 가장 독성이 강하며 가축의 중독 증상은 점막에 자극을 주어 위장염, 복통, 타액분비, 설사 등을 보인다.

4. Rape라는 식물은 폐결핵, 설사, 실명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계피

육계, 게주, 자주, 대주라 한다. 계피는 자극성의 단맛과 매운맛이 나며, 나무의 껍질을 벗겨서 말린 것과 가루도 있다.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이 원산지이다. 라오스, 캄보디아, 인도차이나, 수마트라에서 경작된다. 조림요리나 간식의 과자류에 향기를 내는 데 사용되며, 분말 정유는 과자류, 빵, 콜라, 음료, 아이스크림, 커피 및 그밖에 고미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정유는 ceylon 계피유라 하며, 계피설과 가지 등을 합해서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는다. 천연첨가물 중 향신료로 사용된다.

 

계피의 주요 성분

주성분은 계피유라고 하는 정유로 Cinnamic aldehyde, Camphene, Cineol, Linalool, Eugenol 등이다. 이들 성분의 주요 기능은 위장의 점막을 자극하여 분비를 왕성하게 하고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하여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하기도 한다. cinnamic aldehyde는 방향과 단맛이 나는 매운맛이 있으며, 약 65~76% 점유하고, 이외에도 탄닌, 쿠마린, 점액질, 고무질, 당분 등이 있다. 

 

계피의 한방효능

계피는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는 약제이다. 하초가 허약하고 찬 것에 효능이 있어서 설사, 구토, 소화불량, 월경불순, 팔다리가 나른한 증상을 치료한다. 계피는 지속적인 말초혈관 확장작용 및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도 있으며 중추신경을 억제하므로 진정, 진통, 해열 작용이 있다. 계피유는 방향성 건위 작용이 있어서 위장에 완만한 자극 작용을 하여 타액 및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므로 소화를 돕고 궤양을 억제시킨다. 심장과 관상 동맥의 혈류량 촉진과 항방사능 작용 및 백혈구 수 증가 작용이 나타난다. 또한 피부 진균의 억제 작용도 있다.

 

계피의 주의사항

계피는 허약하고 열이 부족한 사람이 먹는 것이므로 열이 있거나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가을이나 겨울에 먹는 것이 좋다. 임부 및 출혈이 있는 자는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댓글